본문 바로가기

Reading/Psychology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 Oliver Sacks

(한글)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It is the right hemisphere which controls the crucial part of recognising reality which every living creature must have in order to survive. The left hemisphere, like a computer tacked onto the basic creatural brain, is designed for programs and schematics.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심리학에서 유명한 책으로, 인지심리학과 관련된 책 중 대중서 중에서 가장 유명한 책이지 않을까 싶다. 읽다 보니 저자가 신경과 전문의로, 뇌과학과 관련된 환자들이 많이 나온다. 뇌의 어느 부위에 문제가 생겼을 때 사람의 인지가 어떻게 변하더라... 라는 여러 케이스들을 모아놓은 책이라고 보면 되는데,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게 서술되어 있어서 유명해지지 않았을까 생각되었다.

 

 

Here, in the case of Dr P., we see the very opposite of this – a man who has (albeit only in the sphere of the visual) wholly lost the emotional, the concrete, the personal, the ‘real’ ... and been reduced, as it were, to the abstract and the categorical, with consequences of a particularly preposterous kind.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뇌의 어떤 부위가 이상이 생겼을 때,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는 인지능력에 변화가 생기는 게 맞는 것 같다. 결국, 사람의 뇌는 인지능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뇌가 얼마나 복잡한 기관인지, 그리고 뇌가 조금 고장 났을 때 인지능력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조금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정상인으로 태어난 나라는 존재는 어떻게 이 모든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여서, 이렇게 읽고 생각할 수 있게 되는지도 알게 된다.

 

 

In Korsakov’s, or dementia, or other such catastrophes, however great the organic damage and Humean dissolution, there remains the undiminished possibility of reintegration by art, by communion, by touching the human spirit: and this can be preserved in what seems at first a hopeless state of neurological devastation.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We are in strange waters here, where all the usual considerations may be reversed – where illness may be wellness, and normality illness, where excitement may be either bondage or release, where excitement may be either bondage or release, and where reality may lie in ebriety, not sobriety. It is the very realm of Cupid and Dionysus.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그렇다고 해서 뇌에 이상이 있다고 모두 이상해지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정상인보다 더 나은 부분을 가지는 부분도 있음을 보게 되는데, 이러한 케이스들을 보면서 정상인의 인지, 사고방식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추측할 수 있게 된다. 대부분의 정상인들이 사고하는 방식이 정답이라고 할 만한 근거는 솔직히 없는 것이다. 다수의 사고과정을 정상이라고 규정해놓고 우리는 그것이 더 진실되다고 여기며 살아간다.

 

 

A man needs such a narrative, a continuous inner narrative, to maintain his identity, his self.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Unable to maintain a genuine narrative or continuity, unable to maintain a genuine inner world, he is driven to the proliferation of pseudo-narratives, in a pseudo-continuity, pseudo-worlds peopled by pseudo-people, phantoms.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The world keeps disappearing, losing meaning, vanishing – and he must seek meaning, make meaning, in a desperate way, continually inventing, throwing bridges of meaning over abysses of meaninglessness, the chaos that yawns continually beneath him.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Wernicke-Korsakoff syndrome 같은 병들은 기억의 저장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환자는 기억을 저장할 수 없게 된다. 그렇게 될 경우 그는 자아와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이야기를 만들어내게 되는데... 이런 부분에서 기억력이 그 사람의 자아와 자기인식에 미치는 영향성을 알 수 있게 된다.

 

 

I call this an inversion because the concrete is elemental – it is what makes reality ‘real’, alive, personal and meaningful. All of this is lost if the concrete is lost.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A child follows the Bible before he follows Euclid. Not because the Bible is simpler (the reverse might be said), but because it is cast in a symbolic and narrative mode.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뇌가 다쳐서 추상적인 것을 다루지 못하게 될 경우에도 성경은 이해하고 읽을 수 있다고 하는데, 이런 점에서 성경은 대단한 것 같다. 원래의 목적이 똑똑하지 못한 자들을 위해 이야기식으로 전해진 것도 많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 이외에 자폐증, 서번트 증후군에 관한 사례들도 나오며, 그들이 우리와 소통은 할 수 없지만, 어떤 점에서 굉장히 뛰어나고 그 뛰어남을 우리가 이해할 수 없다는 내용도 나온다.

 

정말 많은 케이스가 소개되며, 이야기형식으로 쉽게 읽을 수 있어서 흥미롭고 재밌게 읽을 수 있었다. 뇌과학에 있어서 고전이라고 불릴 만한 책이었다. 책 내용 자체는 그렇게 어렵지 않지만, 영어 단어는 생각보다 어려웠다. 아마 전문적인 단어와 다른 책에 잘 쓰이지 않는 형용사 같은 것들이 많이 나와서 단어가 어렵다고 느낀 것 같다. 뇌과학에 관해 관심 있는 분들에게 추천한다.